
1960년, 김기영 감독의 원작 <하녀>는 아직 보지 못했다.
대충의 줄거리는 알고 있어서, 그 당시로서 얼마나 화제가 되었을지(그리고 그 이후로도) 짐작만 할 뿐. 그래서 임수 감독의 <하녀>는 1960년작 <하녀>의 리메이크작이 아닌 2010년의 새로운 화제작,으로만 생각하고 봤다. 영화를 보고 나온 지금, 결론부터 말하자면 당장 김기영 감독의 원작을 보고싶어졌다는 이야기.
초상류층(초,라고 붙이지 않으면 안될 것 같다는-_-;)의 가정부로 들어가게 된 은이. 화려하게만 보였던 상류층 가족의 은밀한 부분들을 알게 되면서 그녀의 환상과 현실은 모두 산산히 부서져버린다.
에로틱이라던지, 서스팬스, 원작이 주었던 충격 등을 기대하면 안될지도 모르겠다. 적어도 내게 이 영화 <하녀>는 지금의 대한민국의 모습을 살짝 비틀어꼬아둔 지극히 현실적인 영화였으니까. 그래서 영화관을 나서면서 어딘지 모르게 씁쓸한 기분이 들었다. 그리고 쓸쓸해졌다. 하지만 <하녀>는 확실히 잘 만든, 흥미로운 영화였다.

일단, '전도연' 이라는 이름의 배우는 쉽게 관객들을 실망시키지 않는다.
한번도 그녀가 연기를 잘한다고 생각해본적이 없었다. 그도 그럴게, 언제나 그녀는 그 배역 자체였기 때문. 그래서 그녀는 연기를 하고 있는 배우 전도연이 아닌 극중 인물이었다. 이번에도 역시 전도연은 백치미라고 해도 좋을 순진한 성격의 이혼녀 '은이'였다.

뿐만 아니라, 살짝 우려했던 서우의 이정재의 연기도 좋았다. <미스 홍당무> 이후로 서우의 연기를 제대로 본 적이 없어, 고교생이 아닌 '여자'의 연기를 잘 할수 있을까 걱정했더랬는데(물론 <미스 홍당무>에서는 매우 좋았으므로) 괜한 걱정이었다. 그녀만의 독특한 분위기를 살린 '여자'를 연기해냈더라. 이정재는 언제나 조금씩, 천천히 앞으로 걸어나가는 배우라는 느낌. 이번 영화를 통해서도 그는 한걸음씩 앞서 나가고 있는 듯 했다.
참, 서우의 엄마 역으로 나온 박지영도 좋았다. 오랫만이라 반갑기도 했고.
이렇게 배우들의 연기가 조화를 이루며 고르게 펼쳐졌다는건 배우들의 역량이 훌륭했기 때문도 있겠지만 임상수 감독의 연출도 한몫했을테다. 그러고보니 임상수 감독의 영화를 보면서 '아 진짜 연기 못한다' 라고 생각한 적은 없었던 듯.

그리고, 그리고! 언제나처럼 내가 사랑해마지 않는 '여배우' 윤여정!
와인을 마시면서 '아-더-매-치'한 세상을 향해 투덜투덜거리는 늙은 하녀의 모습은 정말이지, 이런말이 어울릴진 모르겠지만 사랑스러울 지경! 그러고보니 <바람난 가족>에서도 "나 바람났다" 고 새침하게 말하던 모습이 오버랩되기도. 임상수 감독과의 조합이 꽤 재미있게 나오는 것 같아서, 앞으로도 두 콤비의 모습을 기대합니다아~
이창동 감독의 <시>와 함께 깐느로 간 <하녀>. 좋은 결과를 가지고 돌아오길!
영화와는 상관없는, 뜬금없을지도 모르는 이야기.
"뜬금없는 이야기지만," 이라고 서두를 꺼낸 친구의 이야기인데-
일반 가정에서 적은 월급을 받고 일하는 가정부와, <하녀>에서처럼 상류층에서 높은 월급을 받지만 그들의 바닥까지 지켜내야 하는 가정부, 이렇게 두 가지의 선택사항이 있다면 어떻게 하겠냐고. 자기는 아무리 돈을 많이 줘도 늙은 하녀처럼은 못살거라고 했다. 나-? 나도 그렇겐 못살지. 흐흐흐.
'일상 속 여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화로 詩를 쓰다, 이창동 감독의 "시" (2) | 2010.05.20 |
---|---|
노민은 외로워~ 로밍팀 육아일기! (0) | 2010.05.19 |
자전거 타기 좋은 5월, 어디로 가면 좋을까? (0) | 2010.05.13 |
한심하고 유쾌한 여름날의 추억 "하.하.하" (0) | 2010.05.11 |
노민이 추천하는 어버이날 선물! 孝 공연으로 특별하게~ (0) | 2010.05.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