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왜 사람들이 기분 좋으면 “홍콩 간다” 라는 표현을 쓰는 것일까? 아시아의 진주라 불리는 홍콩은 아름다운 야경과 동서양의 문화가 적절히 융합된 이국적인 풍경, 지천으로 널린 매혹적인 쇼핑센터 등 오감을 충족시켜 주는 맛깔스런 도시이기 때문이다.
홍콩! 여행 떠나기 전 꼭 알아두자~ : 기본상식!!
1. 날씨
홍콩은 매우 습한 아열대 기후이다. 4월 하순에서 9월 하순에 걸친 우기에는 하루에 수십 차례 날씨가
변하므로 항상 우산을 준비해야 한다.
긴 팔 옷은 필수! 9월 하순~12월 초순 사이가 우리나라의 선선한 가을날씨라 여행하기에 가장 좋고,
12월 하순에서 2월은 약간 쌀쌀하다.
2. 세일기간
홍콩의 가장 큰 세일기간은 매년 11월 마지막 주부터 구정 전 까지이다.
여름세일보다 할인율도 더 높고 유명 브랜드 제품들을 5~70% 정도 싸게 구입할 수 있다.
3. 홍콩행 비행기 값을 아낄 수 있는 방법?
홍콩행 비행기 값을 아끼기 위해서는
Air Macau 를 타고 마카우에 가서
배를 타고 홍콩으로 들어가는 방법이 있다.
하루면 충분한 마카우 관광도 하고, 카지노에서 슬롯 머신도 한 판 땡길 수(?) 있다.
마카우에서 홍콩까지는 배로 약 한 시간 정도
걸린다.
본격적인 홍콩 여행 시작~~
1. 홍콩의 명동? "침사추이" 에서 보는 환상야경
홍콩은 크게 홍콩섬과 구룡반도 2개의 섬으로 나뉘는데
그 중 구룡반도의 중심인 침사추이는 서울의 명동 같은 곳이다.
엄청나게 많은 사람들과 커다란 쇼핑몰들이 즐비하다.
핵심명소는 홍콩 영화스타들의 핸드프린트와 조형물이
어우러진 아시아 최초의 영화거리' 스타의 거리'이다.
이 곳의 가장 큰 장점은 뭐니뭐니해도 홍콩의 백 만불
짜리 야경을 감상하기에 가장 완벽한 장소라는 것이다.
매일 밤 8시부터 약 18분간
'Symphony of Light' 레이저 쇼가 펼쳐지는데,
이 쇼를 감상하기 가장 좋은 위치가 바로 '스타의 거리'이다.
홍콩에 와서 야경만이라도 제대로 감상했다면 최소한 본전은 뽑는 셈이다. 만큼 야경이 멋지다!
동남아시아 최대 규모의 위락 시설인 오션파크에는
몇 번 갈아타기까지 할 정도로,
세계에서 두번째로 긴 옥외 에스컬레이터가 있다.
오션파크는 산 위에 만들어졌기 때문에
위쪽으로 가기 위해서 에스컬레이터나
스릴 만점의 케이블카를 반드시 타야한다.
케이블카를 타면 바다를 바로 위에서
내려다볼 수 있기 때문에 여행 중 지친 몸을 쉬면서 경치를 감상하기에는 그만이다.
(고소공포증이 있는 사람들에게는 비추천)
입구를 통과하는 즉시 제일 먼저 상어와 마주친다.
영화에서 보던 죠스 보다는 작지만,
그 날렵한 자태로 헤엄치는 녀석을 보면 꽤 위협적이다.
수족관은 지하로 내려가면서 보도록 만들어져 있는데,
한 층 한 층 아래로 내려갈수록 색다른 종류의 바다생물을 감상할 수 있다.
지하 1층에서는 얕은 바다에 사는 바다생물을,
제일 아래층에서는 심해에 사는 바다생물들을 볼 수
있도록 해 놓았다.
Tip 모든 시설이 이용가능한 자유이용권 가격은 우리나라 테마파크 자유이용권의 약 3분의 2 수준.

3. 사람? 인형? 빅토리아 피크의 밀랍인형 전시관 "마담투소"
1888년부터 센트럴과 피크를 이어주는 교통수단이자,
100년 동안 단 한번의 사고도 일어나지 않은 홍콩의 가장 오래된
대중교통 수단인 '피크트램'이란 탈 것이 있다.
이것을 타고 가파른 경사로 인해 거의 뒤로 누은 것 같은 자세로
7분 정도를 가면, 빅토리아 피크 정상에 올라
홍콩섬의 야경을 한 눈에 볼 수 있다.
도시 전체가 어둠 속에서도 보석처럼 반짝거린다.
빅토리아 피크에는 세계적으로 유명한 밀랍인형 전시관인 마담 투소 박물관이 있다.
1802년 투소 부인에 의해 건립된 밀랍 인형관이 모체인데 정치인, 운동선수, 영화배우, 과학자 등 전세계 유명인들의 밀랍을 본 떠서 전시해 놓은 곳이다.
피어스 브로스넌, 데이비드 베컴, 브래드 피트, 영국 왕실 가족, 장국영, 유덕화, 아인슈타인, 클린턴,
마를린 먼로, 비틀즈 등 실물 크기의 인형 중에서는 조금 어설픈 것도 있었지만 대부분
그럴듯하게 만들어 놓았다.
길 한가운데 에스컬레이터가 있다니! 그것도 끝이 보이지 않을만큼 길다.
센트럴의 미드레벨 에스컬레이터는 세계에서 가장 긴 것으로 윗동네 사는 서민들을 위한
800미터짜리 지상 에스컬레이터이다. (홍콩은 살인적인 인구밀도로 유명하다)
이 주변으로 유명한 외국음식점이나 술집등이 즐비하고 SOUTH OF HOLLYWOOD 의 약자로 유명한 SOHO거리가 있다.
지척에 있는 라이브바나 술집이 즐비한 란콰이퐁도 꼭 추천할만 코스이다.
란콰이퐁은 우리나라의 청담동+홍대클럽을 섞어 놓은 듯 한 분위기인데 더 자유스럽고 유쾌한 분위기이다. 외국인들도 아주 많아 홍콩이 국제도시임을 실감케 한다.
Tip 미드레벨 에스컬레이터를 타고 밑에서부터 맨 꼭대기까지 가는데 20분 소요.
================================================================================================
홍콩 현지 주요기관 연락처를 알려 드릴께요!!!
T로밍 보디가드 서비스 신청을 하지 못하신 분 들 이라면 아래 연락처를 잘 기억해 두세요!!
1) 주 홍콩 대한민국 총 영사관
http://www.korea.org.hk
주 소 : Consulate General of the Republic of Korea
5-6/F, Far East Finance Centre,
16 Harcourt Road, Hong Kong
전 화 : +852-2529-4141
팩 스 : +852-2861-3699
근 무 시 간 : 월~금 9:00~17:30 토(9:00~15:00)
주 요 업 무 : 경제, 통상, 문화, 홍보업무, 여권, 병역, 재외국민등록,
호적, 국적, 관련 등의 영사업무
공휴일 및 근무시간 이후 의 긴급시 전화번호
- 여권 분실 및 훼손, 공증 등 영사 민원 사항: +852-9155-7204
- 사건.사고 관련 : +852-9469-8355
- 중국 방문 비자 및 외국인 한국 방문 비자 관련 사항 : +852-9262-3561
- 일반 행정관련 사항 :+852-9155-7254
2) 홍콩한인회 : +852-2543-9479
3) (홍콩) 한국관광공사 : +852-2523-8065
4) 항공사
* 대한항공 TEL : +852-2368-6221 FAX : +852-2724-1270 (예약)
* 아시아나 TEL : +852-2523-8585 FAX : +852-2523-3521 (예약)
* 케세이 퍼시픽 TEL : +852-2747-1888 FAX :+852- 2747-1234
* 홍콩국제공항
http://www.hongkongairport.com/
주 소 : Customer Feedback, Airport Authority Hong Kong, HKIA Tower, 1 Sky Plaza Road, Hong Kong International Airport, Lantau, Hong Kong
전 화 : +852-2181-8888
업 무 : 운항, 관광, 날씨 정보, 공항 서비스, 교통편 등 안내.
5) 시티버스
http://www.citybus.com.hk/
전 화 : +852-2873-0818
6) KCR(기차)
http://www.kcrc.com
7) 지하철
http://www.mtr.com.hk
전 화 : +852-2881-8888
팩 스 : +852-2881-8888
업 무: 이용요금, 운행시간, 공항고속전철, 여행정보 등 안내.
* 주요전화
전화번호 문의 : 1081 (영어) 1083(중국어)
기상예보 : 187-8066
홍콩 관광협회 : +852-2508-1234
홍콩 소비자 협회:+852- 2856-3113
* 긴급전화
- 화재, 경찰, 앰블런스 : 999
(홍콩 로밍과 친해지는 방법을 알려드려요~)
'일상 속 여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호주의 붉은사막! 지구의 배꼽! 에어즈락 투어방법 1,2,3! (0) | 2008.02.04 |
---|---|
콕! 찝어서 떠나는 도쿄명소 BEST.3 - "다이칸야마/ 코엔지/ 지유가오카" (1) | 2008.02.01 |
SKT, 이동통신사 최초로 인천공항 및 주요도시에 T로밍 키오스크 설치!! (3) | 2008.01.31 |
[이번주 개봉영화] SF 스릴러 드라마 '클로버필드' (4) | 2008.01.25 |
[긴급출동 sos] '왕따 아이의 복수' -학교폭력의 심각성 (6) | 2008.01.23 |